본문 바로가기
100세 까지 건강하게 살거야

'약'이 독이 될수 있는 9가지 상황

by 헬스플러스 2019. 6. 29.
반응형

'약'이 독이 될수 있는 9가지 상황



우리에게 약은 정말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품이다.

두통약, 소화제, 감기약 등 한번도 먹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에게 유용한 약이 독이 된다면?

믿기지 않겠지만, 약을 어떻게 복용하느냐에 따라 독이 될수 있다.

사극 드라마에서 왕이 어명으로 사약을 내리는 장면을 보았을 것이다.

이 사약은 한약이다. 

한약재는 병을 치료하는 약이지만 독성을 줄이거나 제거하지 않으면 사람을 죽일 만큼 독성을 가지게 된다.

이번 시간에는 약이 독이 될수 있는 9가지 복용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1. 음주 중 두통약, 간이 위험하다

음주 도중 또는 직후에 머리가 아파 타이레놀 같은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진통제를 복용하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이 때 진통제를 복용하면 간 손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심하면 간경화가 올 수 있다.

술 마신 다음날 두통약 복용은 상관없다.

그러나 매일 석 잔 이상 술을 마시는 사람은 아예 진통제를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2. 피임약 하루 두 알 복용하면 하혈 한다

매일 복용하는 피임약을 깜빡 잊고 다음날 한꺼번에 두 알 복용하면 호르몬 과다로 하혈을 일으킬 수 있다.

정 불안하면 아침, 저녁 한 알씩 나눠 복용하는 것이 좋다.

또 피임약을 항생제와 함께 복용하면 약효가 떨어져 피임에 실패할 수 있다.

피임약을 비타민 E가 영양제와 함께 복용하면 혈전증 위험이 높아진다.


3. 박카스는 하루에 한병만

박카스는 음료가 아니라 의약품이다.

15세 이상 성인 기준 하루 한 병 이상 마시지 말아야 한다.

많이 마시면 카페인 중독이 생길 수 있다.

또 속 쓰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빈속에 마시는 것도 좋지 않다.

위.십이지장궤양 환자나 파킨슨병 환자도 병을 악화시킬 수 있다.


4. '쌍화탕과 우황청심환' 고혈압 환자는 금물

고혈압 환자가 감초 성분을 과다 복용하면 전신이 붓거나 노곤함, 두통이 나타날 수 있으며, 소변이 잘 안 나올 수도 있다.

따라서 고혈압 환자는 하루 40mg 이상 감초 성분 함유된 약 복용을 삼가야 한다.

쌍화탕 한 병에는 감초 성분이 약 25mg, 우황청심환에는 37-50mg 들어있다.

고혈압 환자는 쌍화탕 1병 이상, 우황청심환은 한 알을 초과하지 말아야 한다.


5. 간장약, 가임기 여성은 피하라

간장약 우루사나 쓸기담 등은 피임약과 같이 복용하면 안 된다.

특히 임신부나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이 간장약과 피임약을 함께 복용하면 기형아 출산 위험이 있다.

또 당뇨병 치료제를 복용 중인 환자가 간장약을 함께 복용하면 저혈당이 나타날 수 있다.

담도가 완전히 폐쇄된 환자, 심한 간염 환자, 급성 담낭염 환자도 복용해선 안 된다.


6. 종합비타민제, 여성은 하루 4정 미만 복용해야

비타민A가 든 약을 용량 이상 장기 복용하면 탈모, 체중 감소, 피부 건조증이 올 수 있다.

임신 전 3개월부터 임신 초기 3개월까지 하루 1만 IU 이상 비타민A를 섭취한 여성은 기형아 출산 위험이 높다는 연구 보고가 있다.

시판 중인 종합비타민에는 대개 비타민A가 2000-3000IU가 들어 있으므로 임신부 및 임신 가능성이 높은 여성은 종합비타민을

하루 4-5정 이상 복용해서는 안 된다.


7. 자몽과 고혈압약 함께 먹으면 독성 위험

고혈압 약은 자몽 주스와 함게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고혈압 약 중 암로디핀제제노바스크 등)와 자몽 주스를 함게 먹으면 약효가 지나치게 증가해 독성이 나타날 수 있다.

자몽 주스는 약 복용 2시간 지난 뒤에 마셔야 한다.

반면 고혈압 약 중 니카르디핀제제는 음식과 함게 복용하면 약 흡수가 저하되므로 공복에 복용해야 한다.


8. 천식 환자가 초콜릿 먹으면 두통

천식이나 기관지염에 쓰이는 기관지 확장제와 초콜릿 원료인 카카오에는 비슷한 성분이 들어 있다.

약과 초콜릿을 함께 먹으면 약을 두 배로 복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난다.

기관지 확장제를 복용하는 사람이 초콜릿을 먹은 뒤 머리가 아프고 구토가 나는 것은 이 때문이다.


9. 소화제, 감기약, 변비약과 우유는 상극

소화제, 감기약, 변비약을 우유와 함께 먹으면 약 성분이 몸에 잘 흡수되지 않고 대부분 몸 밖으로 빠져나간다.

우유가 몸속에서 약 석분이 나타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항생제와 제산제 또는 철분을 함유한 비타민을 함게 먹어도 항생제의 약효가 없어진다.

철분이 항생제가 체내에 흡수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철분이 든 비타민은 항생제 복용 후 2시간 지나서 먹는 것이 좋다.


SNS에서 많이 본 이야기


비뇨기과원장도 한다는 '남성기능 치료기구'

http://bit.ly/2ZWCdUZ


국가공인자격증 100%국비지원 진행중

 http://bit.ly/2WlDXp6


로또당첨번호 매주 10조합'평생 무료'

 http://bit.ly/320atk6


천하장사 이만기의 '관절건강' 비결은? 

 http://bit.ly/2XBHxQd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